1.조건 명령어
-$(document).ready(); 문서가 준비되면 ()를 실행
-$('a').click(); a를 클릭하면 ()를 실행
-$('a').hover(); a에 마우스를 hover하면 ()를 실행
(*function을 ,로 두개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 진입, 마우스 이탈의 효과를 개별로 지정 가능하다)
-$('a').on('scroll',function(){}); 스크롤 이벤트가 발생하면 함수(function)를 실행
-$(window).resize(); 창 크기가 조절되면 ()를 실행
2.선택 명령어
명령어 | 내용 |
$(this).parent() | 대상의 부모요소를 선택 |
$(this).next() | 대상 다음의 형제요소를 선택 |
$(this).prev() | 대상 이전의 형제요소를 선택 |
$(this).siblings() |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 형제요소들을 선택 |
$(this).last() | 대상의 마지막 요소를 선택 |
$('li').not(':eq(0),:eq(2)') | 첫번째(0)와 3번째(2)를 제외한 li를 선택 |
$(this).children('p') | 대상의 자식요소 중 p요소를 선택 |
$(this).attr('src') | 대상의 src 속성을 선택 |
$('li:lt(2)') | 2보다 낮은 순서의 li (==0,1)를 선택 |
$('li:eq(3)') | 3번째 순서의 li (==2)를 선택 |
$('li:gt(3)') | 3보다 높은 순서의 li (==4~)들을 선택 |
$('li:contains("표준")') | "표준"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li를 선택 |
$('li').has('ul') | 'ul'을 포함하고 있는 li를 선택 |
$(this).clone() | 대상을 복제 |
$('li:first a') | 첫번째 li의 a를 선택 |
$(window).width() | 창 가로사이즈 (내부 너비) |
$(window).height() | 창 세로사이즈 (내부 높이) |
$(window).innerWidth() | 뷰포트(viewport) 너비 (컨텐츠 영역)을 픽셀로 반환, 스크롤바 포함 |
$(window).innerHeight() | 뷰포트(viewport) 높이 (컨텐츠 영역)을 픽셀로 반환, 스크롤바 포함 |
$(window).outerWidth() | 너비를 픽셀로 반환, 모든 인터페이스(툴바,스크롤바)를 포함 |
$(window).outerHeight() | 높이를 픽셀로 반환, 모든 인터페이스(툴바,스크롤바)를 포함 |
$(window).scrollTop() | 창 수직 스크롤 위치 |
$(window).scrollHeight | 창 총 높이값 |
$('li:not(:first)') | 첫번째 li를 제외한 나머지 li를 선택 |
$(this).index() | 대상의 순서를 가져옴 (0부터 시작) |
Math.abs() | 절대값을 구하는 함수 |
push() | 배열의 가장 마지막에서부터 값을 추가 |
unshift() | 배열의 가장 앞에서부터 값을 추가 |
pop() | 배열의 가장 마지막 값을 삭제 |
shift() | 배열의 가장 앞에 값을 삭제 |
splice(1,1) | 인덱스 1부터 1개 삭제 |
splice(3) | 인덱스 3부터 뒤로 전부 다 삭제 |
splice(1,1,'grape','berry') | 1인덱스부터 1개 삭제하고, 그 자리에 'grape','berry' 추가 |
a.concat(b) | a에 b 배열을 연결한다(합친다). |
$('a').offset().top | a의 top위치를 가져옴 |
a.find('p') | a의 하위요소중에 p를 선택 |
*가상선택자(after,befor)의 경우에는 제이쿼리로 직접적인 수정이 불가능하다.
대신 가상선택자 앞에 클래스명을 주어서 css 설정을 해주고(div.test::after),
해당 css를 toggleClass로 on/off하여 사용 가능하다.
3.실행 명령어
- css 속성 변경
script
$('.wrap').css('background-color','blue');
// .wrap의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변경
-css 다중 속성 변경
script
$('.wrap').css({'background-color':'blue','color':'red'});
// .wrap의 배경색은 파란색으로, 폰트색은 빨간색으로 변경
-class (add / remove / toggle)
script
$('.wrap').addClass('box01');
// .wrap에 'box01' 클래스 추가
$('.wrap').removeClass('box02');
// .wrap에 'box02' 클래스 제거
$('.wrap').toggleClass('box03');
// .wrap에 'box03' 클래스 추가/제거
-slide (Down / Up / Toggle)
script
$('.wrap').slideUp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접기
$('.wrap').slideDown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펼치기
$('.wrap').slideToggle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접기/펼치기
-show / hide / toggle
script
$('.wrap').show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보이기
$('.wrap').hide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숨기기
$('.wrap').toggle(500);
// .wrap을 0.5초에 걸쳐 보이기/숨기기
-prepend / append
script
$('.wrap').prepend('<div>내용</div>');
// .wrap 안쪽 맨 앞에 <div> 추가
$('.wrap').append('<div>내용</div>');
// .wrap 안쪽 맨 뒤에 <div> 추가
-before / after
script
$('.wrap').before('<div>내용</div>');
// .wrap 바깥쪽 바로 앞에 <div> 추가
$('.wrap').after('<div>내용</div>');
// .wrap 바깥쪽 바로 뒤에 <div> 추가
-wrap
script
$('.wrap02').wrap('<div class="box01"></div>');
// .wrap02를 .box01로 감싼다
-fade (In / Out / Toggle)
script
$('.wrap').fadeIn(500);
// .wrap을 0.5초만에 서서히 나타나게 하시오
$('.wrap').fadeOut(500);
// .wrap을 0.5초만에 서서히 사라지게 하시오
$('.wrap').fadeToggle(500);
// .wrap을 0.5초만에 서서히 나타나게/사라지게 하시오
-prependTo / appendTo
script
$('.wrap div').prependTo('.wrap02');
// .wrap div를 .wrap02 안쪽 맨 앞으로 이동
$('.wrap div').appendTo('.wrap02');
// .wrap div를 .wrap02 안쪽 맨 뒤로 이동
-setTimeout
script
$(document).ready(function(){
setTimeout(function(){
$('.wrap').addClass('box01');
},500);
// 0.5초뒤, .wrap에 box01 클래스 추가
});
-animate
script
if($(window).scrollTop()>=a1){
$("div#area1 h2").stop().animate({"left":0},2000);
// h2 기존 animation을 멈추고 left:0으로 2초동안 실행
}
'Jquery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제이쿼리]수징중앙정렬 (0) | 2022.08.23 |
---|---|
[제이쿼리]대화상자 (0) | 2022.08.18 |
form 이벤트 (0) | 2022.08.09 |
[제이쿼리] 마우스 이벤트 (0) | 2022.08.09 |
제이쿼리 연결 (0) | 2022.08.08 |